2009년 8월 28일 금요일

Delphi / C++ Builder 2010이 발표되었습니다.

델파이/빌더 2010이 발표되었군요.

아래 내용은 다음 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blog.devgear.co.kr/imp/

드디어 Delphi/C++Builder 2010이 발표되었습니다. 본사에서는 어제 오후에 발표되었는데요. 요즘 제가 일이 쌓여서 산을 이루고 있다보니 대응이 좀 늦었습니다. 아래는 관련 보도자료입니다. ^^


엠바카데로, Delphi/C++Builder 2010 발표로 Windows 7 및 터치 기반 개발을 선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멀티플랫폼 데이터베이스 툴 및 개발툴 소프트웨어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엠바카데로 테크놀로지사는 오늘 Delphi® 2010, C++Builder® 2010, Delphi Prism™ 2010, 그리고 이 툴들을 포함하는 Embarcadero® RAD Studio 2010을 발표했다. 이 툴들은 신규 개발 혹은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인터랙티브 터치 및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빠르게 개발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네이티브 윈도우 및 .NET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120가지 이상의 새롭고 강화된 기능들도 제공한다. RAD Studio 2010의 핵심적인 개선점들은 다음과 같다.

 

n        터치 및 제스처 기능 - Windows 7뿐만 아니라 Windows 2000, XP, Vista 플랫폼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터치 기능의 컴포넌트 프레임워크로 개발자들이 최신의 인터랙티브 터치 기반 GUI, 태블릿, 터치패드, 키오스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가능.

n        데이터베이스 연결 강화 - 인기 있는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인 Firebird를 최초로 지원하며, Microsoft SQL Server, Oracle, MySQL®의 업데이트된 최신 버전 드라이버를 지원. 강화된 DataSnap™ 멀티티어 프레임워크는 다른 서비스와의 상호 연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 추가된 JSON REST 등 업계 표준 통신 프로토콜들을 광범위하게 지원.

n        개발자 생산성 기능 대폭 강화 - 새로운 IDE 인사이트로 파일, 컴포넌트, 기능, 설정들을 간단한 키 입력만으로 찾아 실행 가능, 코드 포매터 및 C++ 클래스 익스플로러, 수많은 디버거 개선.

n        언어 및 컴파일러 강화 - Delphi C++Builder를 위한 백그라운드 컴파일, Delphi 언어에서의 어트리뷰트 및 RTTI (Run-Time Type Information), C++Builder에서의 새로운 C++0x 초안 지원과 업데이트된 Boost, STL, TR1 라이브러리, Delphi Prism에서의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엠바카데로 테크놀로지의 제품 담당 부사장인 마이클 스윈들은, "넷북, 터치패드, 키오스크 등의 하드웨어 발전과 Natural Input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터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발전 속도보다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라고 말하면서, "Delphi C++Builder 2010은 개발자들이 터치와 같은 새로운 기술로 유연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개발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변화의 선두에서 앞서나가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해주는 RAD Studio 2010도 현명한 선택입니다" 라고 덧붙였다.

 

오랜 기간 동안 Delphi 사용자였으며 RAD Studio 2010의 베타 테스터였던 로버트 러브도 이런 관점에 동의했다. 미국 유타주 정부의 DWS/DTS - CATS 팀 관리관인 러브는, "강화된 RTTI와 어트리뷰트 기능은 역동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이 새 버전으로 수백 시간 이상을 절약했습니다" 라고 말했다.

 

RAD Studio 2010 Embarcadero® All-Access™에도 Delphi, C++Builder, Delphi Prism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구버전인 Delphi 2009 2007도 포함되어 있다. Embarcadero All-Access는 전체 엠바카데로 툴 박스의 기능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네가지 All-Access 레벨이 지원된다. All-Access는 어떤 규모의 팀/조직에게도 라이선스 관리 및 액세스를 쉽게 해주는 원스톱 툴 박스이자 라이선스 관리 솔루션이다.

 

IDC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프트웨어 담당 프로그램 이사인 앨 힐워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는, 기업들은 살아남고 궁극적으로는 계속 성장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모든 이점들을 가져야 합니다" 라면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더 빠르게 해주는 툴들에 투자하는 것은 현명한 결정이며, 특히 다양한 시스템들에서 동작할 수 있고 엔드 유저들이 더욱 생산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다 직관적인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툴에 대한 투자는 더욱 그렇습니다. 또한, 이번의 RAD Studio 패밀리의 메이저 업그레이드는 엠바카데로가 볼랜드로부터 인수한 코드기어 라인의 애플리케이션 개발툴에 대한 이 회사의 의지가 여전히 매우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라고 말했다.

 

최신의 블로그와 비디오를 보거나 무료 RAD Studio 2010 트라이얼을 사용해보려면 www.embarcadero.com/rad-studio-2010을 방문하면 된다.

 

제품 구입 정보

RAD Studio, Delphi, C++Builder, Delphi Prism 2010은 현재 엠바카데로의 전세계 파트너사를 통해 즉시 구입 가능하며, 한국에서는 데브기어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Delphi 2006-2009 버전, C++Builder, Turbo Delphi Professional, Turbo C++ Professional, CodeGear RAD Studio, Borland Developer Studio를 소유한 등록 고객들에게는 특별 업그레이드 가격 혜택도 주어진다.

 

데이터시트, 기능 리스트, 신규 기능, FAQ 등 더 자세한 제품 정보를 알아보려면 데브기어 사이트 www.devgear.co.kr에서 RAD Studio, Delphi, C++Builder, Delphi Prism 제품 페이지를 살펴보면 된다. 30일간 자유롭게 완전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트라이얼 버전은 https://downloads.embarcadero.com/free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데브기어 Delphi 2010 / C++Builder 2010 발표 세미나

한편 엠바카데로의 한국 벤더인 데브기어는 이번에 발표한 Delphi/C++Builder 2010의 발표회를 9 3일 섬유센터 3층 이벤트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Delphi/C++Builder 2010에서 업계 최초로 지원하기 시작한 멀티터치 및 제스처를 이용한 앞서가는 UI 개발과 최신 멀티티어 개발 기술, UML 모델링과 Audits/Metrics에 대한 내용들을 발표 및 시연한다.

 

이번 발표회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http://www.imaso.co.kr/seminar/delphi2010 웹 사이트에서 사전 등록을 하면 되며, 당일 참석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과 함께 Delphi C++Builder를 특별한 할인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혜택도 주어진다.


엠바카데로 테크놀러지에 대하여

엠바카데로 테크놀러지(Embarcadero Technologies, Inc.)는 업계 선두 업체로서 각종 수상으로 검증된 툴을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에게 공급하여 고객이 플랫폼과 프로그래밍 언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들의 시스템을 올바로 설계하고 빠르게 구축하고 더욱 잘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포춘지 100 대 기업 중 90개 그리고 전세계 300만 사용자들이 엠바카데로 제품을 사용하여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변경 관리, 표준 준수 및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1993년 설립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전 세계에 사무소가 있다. 엠바카데로 웹사이트는 www.embarcadero.com 이다.
 

데브기어에 대하여

데브기어는 미국 엠바카데로 테크놀로지사와 기존의 코드기어 한국 지사의 협력으로 전략적으로 설립된 엠바카데로 솔루션 전문 공급 기업이다. 데브기어는 Delphi, C++Builder, JBuilder, Delphi Prism 등 선도적인 개발툴 제품들과 ER/Studio, PowerSQL, DB Artisan, EA/Studio 등 프리미엄 레벨의 데이터베이스 툴 제품들을 한국 시장에 공급하며 기술지원 및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데브기어 웹 사이트는 www.devgear.co.kr 이며, 제품에 대한 문의는 ask@embarcadero.kr로 하면 된다.

2009년 8월 23일 일요일

Rapidshare Plus 4.0(라피드쉐어 파일 다운로드)

우리나라는 웹하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웹하드들을 보면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그것을 통해서 파일을 받아야 됩니다.

외국의 경우는 웹하드라는 것이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웹브라우져에서 그냥 파일을 받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유료로 사용을 해야되는 부분도 있지만

동시에 받을수 있는 개수, 하루에 받을수 있는양, 파일 받은후 다시 받을수 있는 시간
전송속도 등등에 제한을 걸고 무료로 받을수 있도록 되어 있는 서비스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볼수 있는 곳이 rapidshare인데
여기에서 파일을 받을때 조금 더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rapidshare plus라는 것으로 아래에서 받을수 있습니다.
http://www.rapidshare.com/users/9MQOR6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etframework 2.0이상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파일이 있는 주소를 Add 옆에 있는 입력창에 입력한후 Add 버튼을 누르면 받을 파일이 추가 됩니다.
또는 파일 주소가 클립보드로 복사되어 있다면 Paste 버튼을 누르면 추가 됩니다.
아니면 파일 목록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는게 있다면 Load from File을 통해서 받고자 하는 파일을 추가할수 있습니다.
받을 파일들이 설정되었으면 맨아래쪽에 Download 버튼을 누르면 파일의 전송이 시작됩니다.

이 프로그램에서 설정할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9년 8월 22일 토요일

VMWARE(Workstation, Player등) 업데이트

데스크탑에서 가상화를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VMWARE Workstation은
6.5.2 --> 6.5.3

VMWARE Player은
2.5.2 --> 2.5.3
으로 각각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

윈도우 7에서 NAT가 동작을 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는데
그 부분이 수정된 것 같습니다.

Player의 수정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vmware.com/support/player25/doc/releasenotes_player253.html

Workstation의 수정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vmware.com/support/ws65/doc/releasenotes_ws653.html

2009년 8월 16일 일요일

장치관리자에 보조프로세서가 나온다면....

지금 사용하는 하드웨어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세서(CPU) : AMD Phenom II x3 710
메인보드 : ASUS M3N78-EMH HDMI
VGA : Nvidia 9500GT(이엠텍 제품)
메모리 : ST2 2G x 4

대충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OS를 새로 설치하였습니다.

각종 드라이버를 다 설치하고 장치관리자를 확인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이 나오는 것이 보조프로세서라는 요상한놈(?)이 있는 것입니다.

이게 무엇인지 여러곳을 검색해보았습니다.
메인보드가 Nforce 칩셋(8200)이라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가 안되어 위와 같은 것이 등장한 것이었습니다.
장치 이름이 이상하게 되어 있어서 혼동을 주기 쉽게 되어 있더군요...
이전의 이름은 무엇인지 모르지만...

nforce 칩셋을 사용하면서 저런 것이 보인다면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가 안된 것이니
설치를 다시해야 됩니다.

2009년 8월 14일 금요일

Firefox 램디스크에 캐쉬설정하기

파이어폭스(Firefox)나 익스플로러(iexplorer)는 램디스크에 인터넷 임시파일을 저장하면 잦은 디스크 액세스를 줄일수 있다.

익스플로러는 인터넷 옵션 / 일반 / 검색기록 설정 이 부분에서 설정을 할수 있지만
파이어폭스는 메뉴에서 도구 / 설정 부분을 확인해보았을때 설정을 할수 있는 부분이 없다.

이것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수행해야 된다.

1. 파이어폭스 주소입력줄에 about:config 라고 입력하고 고급 기능 사용 동의를 하고 들어간다.

2. 필터창에 browser.cache.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볼수 있는데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없을 것이다.
이것을 사용자가 입력해야 되는 부분으로 오른쪽클릭을 하고 새로만들기/문자열을 선택한뒤
browser.cache.disk.parent_directory 라고 생성을 한다.

3. 위에서 만든 문자열에 임시파일을 저장할 폴더의 경로를 입력한다.
경로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그리고 파이어폭스를 재시작하면 된다.

설정 및 파이어폭스 재시작을 하고 웹페이지를 몇개 들어간뒤에
캐쉬가 설정된 곳을 확인해보면 제대로 설정이 되어 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여러가지 언어의 hello world...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있습니다.
아마도 대부분이 경험을 했던 것일 겁니다.

화면에 hello world라고 출력을 하는 것입니다.
C는 printf
C#은 Console.WriteLine
Java는 System.Out.println
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서 콘솔에 기본적인 출력을 해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정리된 사이트가 있습니다.
http://helloworldsite.he.funpic.de/

아래와 같이 다양한 언어들에 대한 것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09년 8월 8일 토요일

BlitzMAX 설치와 설정

BlitzMAX는 Blitz3D와 BlitzPlus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능과 능력을
추가한 Basic언어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입니다.
Blitz3D는 Windows에서만 사용할수 있었습니다.
BlitzMAX는 Windows, MAC OS, Linux를 지원하고
기존의 Blitz 제품에 OOP 및 OpenGL 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제품에 관한 정보 및 demo 버전은 아래에서 받을수 있고
데모는 30일의 사용제한이 있으며 Linux용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http://blitzbasic.com/Products/_index_.php


설치를 완료한뒤 BlitzMAX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메뉴에서 Program 부분을 살펴보면 비활성화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
모듈을 만들고 빌드하기위해서는 설치를 해야 되는 것이 있습니다.

http://www.mingw.org/
MinGW를 설치하고 설정을 해주어야 됩니다.
MinGW 받는 곳은  http://sourceforge.net/projects/mingw/files/ 입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실행을 하고 있으니 MinGW-5.1.4.exe 파일을 받습니다.

이것을 인터넷을 통하여 해당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MinGW를 실행하고 설치할 컴포넌트 및 디렉토리 메뉴등을 설정하고 설치를 완료합니다.

시작/제어판/시스템/고급/환경변수 에 추가를 해야 되는 것이 있습니다.
환경변수에서 새로 만들기를 선택하여 변수 이름에 MinGW를 입력하고
변수 값에는 MinGW가 설치된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환경변수 Path 편집을 선택하여 변수값에 MinGW 설치된 디렉토리의 Bin을 지정합니다.
모두 설정이 되었다면 확인을 누르고 설정된 것을 적용하기 위해서 재부팅을 합니다.

시스템 재부팅이 완료된뒤 BlitMAX를 실행하고 메뉴 Program을 확인하면
모듈빌드에 관한 부분이 활성화된 것을 볼수 있습니다.

메뉴에서 Program Rebuild All Module을 실행하면 모듈 컴파일이 진행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컴파일 완료를 하는데 시간이 좀 걸립니다.)

2009년 8월 7일 금요일

IBM이 왕좌를 유지할 것인가?

전세게 슈퍼컴의 순위는 top500.org에서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현재는 IBM이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위로 등재되어 있는 시스템이 CRAY의 Jaguar라는 시스템입니다.
처음 등재가 되면서 1위를 목표로 하였지만
IBM이 기존의 시스템에 좀 추가를 하면서 2위에 등재가 된 것이죠.



CRAY가 다시 도전을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AMD에서 출시한 이스탄불(6코어)를 사용하여 기존의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Jaguar(XT5)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4코어인데 이것을 모두 이스탄불로 업그레이드 한다고 합니다.

현재 장착되어 있는 총 프로세서의 갯수는 31360개의 쿼드코어 입니다.(코어 갯수 125440)
이 프로세서들을 모두 이스탄불로 업그레이드하고 시스템을 더 추가하여

최종에는 37378개의 이스탄불(6코어) 프로세서를 장착한다고 합니다.(코어 갯수 224268)
코어 갯수로만 생각하면 10만개정도가 증가를 하게 되는군요.

이렇게 된다면 그간 슈퍼컴 왕좌를 차지했던 IBM은 그 위치에서 밀려나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Jaguar 로드맵은 http://www.nccs.gov/computing-resources/jaguar/road-map/
CRAY쪽의 기사는 http://investors.cray.com/phoenix.zhtml?c=98390&p=irol-newsArticle&ID=1316124&highlight=

(AMD는 이스탄불을 한 곳에 3만개 이상이나 팔고 CRAY가 계획대로 진행하여 1위에 등극하게 되면 광고도 되고 좋겠군요...)

chm(HTML로 구성된 도움말) 파일을 볼수 없을때

확장자 CHM으로 된 파일이 있다.
CHM은 Microsoft Compiled HTML로 HTML로는 검색 및 이미지등
여러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단일 파일로 만들어진 것이다.

탐색기에서 클릭을 하여 바로 볼수 있기 때문에 편하고 단일 파일로 되어 있어 배포도 간단하다.
하지만 이것도 HTML외에 다른 것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와 같은 것에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보안이 강화된 운영체제에서는 클릭을 해보면 내용을 볼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확장자가 chm인 것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보안 경고를 보여줍니다..
열기를 선택하여 실제 파일을 열어보면 목차에는 여러 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오른쪽 내용을 보여주는 곳에서는 '주소가 잘못되었습니다.'라 나오며
내용을 볼수가 없습니다.

위와 같이 나오는 것을 실제 내용이 보이도록 설정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혹시라도 감염된 CHM을 통해서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에 감염이 될수 있으니
백신을 사용하여 검사된 파일 또는 검증된 파일만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탐색기에서 CHM 파일을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등록정보)을 선택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오게 됩니다.
오른쪽 아래편으로 보면 차단해제라는 버튼이 있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하면 CHM 파일의 내용을 볼수 있도록 허용됩니다.

내용이 보이지 않았던 파일이 차단해제를 해주어서 아래와 같이 보이게 됩니다.

2009년 8월 5일 수요일

SUPERAntiSpyware (Adware 제거 프로그램)

인터넷을 사용하고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면
애드웨어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검색 치료하는 프로그램들은 매우 많은 종류가 있으며 그 성능도 다양합니다.

몇가지 기능에 제한을 가지고 있지만 프리웨어로 배포되는 것들도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인 SUPERAntiSpyware 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버전과의 비교표도 있으니 참고하면 됩니다.
http://www.superantispyware.com/superantispywarefreevspro.html

프로그램의 설치는 간단하게 이루어집니다.
설치시 약관동의, 사용자이름 입력을 받고 클릭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다양한 언어 프로그램 메뉴와 같은 것에서 한글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프로그램의 설치가 끝나면 메뉴에서 사용할 언어 선택
업데이트 수행, E-mail 알림, 자동 업데이트 활성화, 보고서 보내기등을 설정하고
설치 프로그램을 종료하게 됩니다.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하게 되면 기본설정된 웹브라우져의 기본페이지 보호에 대한 설정을 볼수 있습니다.
메뉴는 스캔, 스케쥴 설정, 업데이트, 검사기록, 설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검색을 수행하면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검색옵션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퀵스캔, 전체 스캔, 사용자 정의 검색으로 수행할수 있습니다.
스캔을 시작하면 메모리, 레지스트리등을 검색하고 파일에 대한 검색을 합니다.
검색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요약해서 창으로 알려주고
검색된 결과에 대해서 어떻게 처리를 할 것인지 선택해게 됩니다.
모두 삭제를 할 것이라면 체크박스를 활성화한뒤 다음으로 넘어가면 삭제를 합니다.

옵션에서 설정할수 있는 것들은 다음 스샷에 나오는 것들을 보시면 됩니다.

프로그램이 수행되면 트레이에 아이콘으로 나오게 되는데 그곳에서 사용할수 있는 메뉴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서 한가지 유틸을 포함하고 있는데 BootSafe라는 것이 있다.

PC를 사용하고 있는 이상 바이러스, 애드웨어등에서 벗어날수는 없습니다.
여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검사 및 업데이트 수행을 해야 좀 더 안전한 PC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