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6월 30일 화요일

가상화(Virtualization)의 종류 및 기능

가상화(Virtualization)의 형태는 2가지의 형태로 구분을 할수 있다.

1. 호스트형 가상화(Hosted Virtualization)
호스트형 가상화는 기본적으로 운영에 필요한 OS를 설치하고 그 위에 가상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한뒤 가상 OS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형태로 운영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VMWARE Workstation
VMWARE Server
VMWARE Fusion(MAC OS)
SUN VirtualBOX

2.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Hypervisor Virtualization)
호스트형 가상화는 시스템의 기본구동에 OS(Windows, Linux, MAC OS, Solaris....등등)이 필요하지만 시스템의 구동 및 운영에 필요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라는 것만 설치하고 그 위에서 가상 OS를 구동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이것은 반가상화(Para-Virtualization)와 전가상화(Full-Virtualization)으로 구분된다.
반가상화(Para-Virtualization)은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는 것이 아니라 하이퍼바이저를 통하여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때문에 높은 성능을 가질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가상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설치되는 가상 OS의 커널을 수정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픈소스 OS에 한정되어 있었지만 더 발전되어 지금은 Windows계열도 가능합니다.
전가상화(Full-Virtualization)은 하드웨어를 가상화하기 때문에 가상으로 설치할 OS에 아무런 수정도 가하지 않으며 Windows, Linux, FreeBSD, Solaris등 다양한 OS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지원이 되어야 합니다.
CPU에서 VT(Virtualization Technology)라는 것을 지원해야 합니다.
인텔은 Intel VT AMD는 AMD-V라는 기능이 바로 전가상화를 위해서 필요한 기능입니다.
대표적인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VMWARE ESX/ESXI
MS Hyper-V
Xen Serve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