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와 규사 생석회등의 무기질 원료를 고온고압으로 양생시킨 경량 기포 콘크리트이다.
ALC는 무기질 소재이기 때문에 내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내부에는 70%의 미세한 기포가 있어서 열의 전도를 강력하게 차단합니다.
대략 일반 콘크리트보다 10배이상의 단열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비중이 0.5정도이고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시 1/4 정도로 가볍습니다.
미세한 기포를 포함하고 있어 차음성과 흡음성이 좋습니다.
톱으로 쉽게 잘리기 때문에 가공이 편하고 시공역시 간편하고 좋습니다.
단점이라면 습기 취약하다고 합니다.
2013년 7월 26일 금요일
포털들이 가져온 단점 (네이버 지식인, 다음 지식, 네이트 지식)
예전에는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변에 물어보거나 관련된 책을 찾아보는등으로 해결을 하였습니다.
지금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질문들을 올리고 그에 대한 답변을 받아서 해결을 하는 것이 많아졌습니다.
각 포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들을 흡수하기 위해서 지식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고 답변도 훌룡한 것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저런 곳에 올라오는 여러가지들을 보다보면
검색엔진에서 손 쉽게 찾거나 본인이 가지고 있는 주변을 둘러보면 찾을 수 있는 것들이 꽤 많습니다.
예를 한가지 들어보도록 하죠.
질문 : 스마트폰에 있는 사진이나 영상들을 어떻게 옮기나요?
--> 스마트폰을 구입하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설명서가 있습니다. 이것을 읽어보면 관련된 내용이 있습니다.
이런 간단한 것을 왜 하지 않을까요?
물론 이런 문제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곳을 이용하여 숙제를 하거나 레포트를 해달라고 하는등 학업에 대한 성취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지식을 습득해서 그것이 오래 지속되기 위해서는 본인의 노력이 들어가야 된다.
그런데 이런 공간으로 인하여 단순하게 지나가는 기억이 되어버립니다.
무슨 일만 생기면 스스로 해결할 생각은 안하고 어디어디 물어보면 되겠지.
이런 상태로 지속이 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저 공간에 질문만 하게 된다면 어떻게 해결을 할 것인가?
이러한 문화에서 어떤 창조적인 생각이 잘 나오겠습니까?
좀 제대로된 서비스로 개선을 했으면 합니다.
2013년 7월 25일 목요일
010 번호 통합에 대한 기사를 보고
'010 번호통합계획' 예정대로 추진 가능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37&year=2013&no=631808&category=
이 기사는 통합계획에 대한 것이 아니라 2G를 사용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한시적으로 3G로 이동하여 사용할수 있게 하였다.
이동한 사람들은 2014년이 되면 010으로 변호가 변경된다는 것을 고지하였다.
이것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한 판결에 대한 것이다.
2G에서 01X를 고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판결이 아닌것이다.
그런데 왜? 이것을 번호통합계획에 대해서 인정한 것처럼 기사를 내는 것인가.
2G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으로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011 이것을 10년이 넘게 고수하고 있다.
그 이유는 주파수 대역대로 인하여 통화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고
요금도 현재 대부분 고수하는 스마트폰 요금제의 형태가 아니라 저럼하다.
기본요금 3만원이 넘어가는 그런 것은 싫다.
전화번호를 변경하였을때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도 귀찮지만
어쩌다 몇년만에 연락 오는 반가운 사람들도 있다.
그래서 변경하는 것이 싫다.
하지만 지금 저 기사를 보니 2018년으로 계획되어 있는 010 통합을 예정대로 진행할 것 같다.
어찌되는지 지켜보아야 겠지만 개인이 일정한 돈을 지불하고 소유한(?) 번호를 변경한다는 꼬라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지켜보겠다.... 방송통신위원회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37&year=2013&no=631808&category=
이 기사는 통합계획에 대한 것이 아니라 2G를 사용하고 있던 사람들에게 한시적으로 3G로 이동하여 사용할수 있게 하였다.
이동한 사람들은 2014년이 되면 010으로 변호가 변경된다는 것을 고지하였다.
이것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한 판결에 대한 것이다.
2G에서 01X를 고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판결이 아닌것이다.
그런데 왜? 이것을 번호통합계획에 대해서 인정한 것처럼 기사를 내는 것인가.
2G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으로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011 이것을 10년이 넘게 고수하고 있다.
그 이유는 주파수 대역대로 인하여 통화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고
요금도 현재 대부분 고수하는 스마트폰 요금제의 형태가 아니라 저럼하다.
기본요금 3만원이 넘어가는 그런 것은 싫다.
전화번호를 변경하였을때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도 귀찮지만
어쩌다 몇년만에 연락 오는 반가운 사람들도 있다.
그래서 변경하는 것이 싫다.
하지만 지금 저 기사를 보니 2018년으로 계획되어 있는 010 통합을 예정대로 진행할 것 같다.
어찌되는지 지켜보아야 겠지만 개인이 일정한 돈을 지불하고 소유한(?) 번호를 변경한다는 꼬라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지켜보겠다....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7월 24일 수요일
구글 블로그(blogger.com) 코드 강조(SyntaxHightlighter)
블로그에 프로그래밍 관련된 여러가지 코드를 올릴때 보기 좋게 꾸며주는 것들이 있다.
이런 것들을 적용할려면 스킨 또는 템플릿의 html 편집이 가능해야 한다.
구글 블로그도 가능하기는 한데 해당하는 js 파일을 올리는 기능이 없다.
그렇다면? CDN 에서 제공하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jQuery 및 javascript 외부에서 추가하는 여러가지 방법
위글에서 3번째 cdnjs 에서 SyntaxHighlighter를 호스팅하고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구글 블로그에 코드 구문 강조 기능을 넣으면 된다.

의 형태로 작성을 하고 저장을 하면 됩니다.
테마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manual/themes/
구문의 언어에 대한 것은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manual/brushes/ 에 있으니 원하는 파일들을 위쪽에 있는 형식으로 작성해서 넣어주면 됩니다.
그럼 조금이라도 더 나은 구글 블로그 생활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런 것들을 적용할려면 스킨 또는 템플릿의 html 편집이 가능해야 한다.
구글 블로그도 가능하기는 한데 해당하는 js 파일을 올리는 기능이 없다.
그렇다면? CDN 에서 제공하는 것을 이용하면 된다.
jQuery 및 javascript 외부에서 추가하는 여러가지 방법
위글에서 3번째 cdnjs 에서 SyntaxHighlighter를 호스팅하고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구글 블로그에 코드 구문 강조 기능을 넣으면 된다.
1. 블로그 설정에서 템플릿 --> HTML 편집을 선택하여 들어간다.
2. html 코드가 나오는데 </head> 부분을 찾는다.
3.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넣으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 < link href = "//cdnjs.cloudflare.com/ajax/libs/SyntaxHighlighter/3.0.83/styles/shCoreMidnight.min.css" rel = "stylesheet" type = "text/css" > <!-- 코드를 어떤 형태로 보여줄지 테마에 관한 설정 파일 원하는 것을 링크 걸어주면 된다. -->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SyntaxHighlighter/3.0.83/scripts/shCore.min.js" type = "text/javascript" ></ script > <!-- 코드 구문 강조를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파일이다 -->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SyntaxHighlighter/3.0.83/scripts/shBrushCpp.min.js" type = "text/javascript" ></ script > <!-- C, CPP 등의 구문에 대한 강조를 하기 위해 설정한 파일이다. --> <!-- 필요한 것들을 찾아서 넣어주면 된다. --> < script type = "text/javascript" > SyntaxHighlighter.all(); </ script > <!-- 파일을 링크 시켰으니 구동을 하기 위한 스크립트 --> |
4. 위 설정을 완료했으면 저장을 하면 됩니다.
코드 구문 강조를 사용하는 방법은 글을 작성하고 html 편집 모드로 들어가1 2 3 4 5 6 7 | < pre class = "brush: cpp" >// 요기에 코드를 넣으면 됩니다. </ pre > // brush 뒤에 cpp라고 적혀 있는데 이것은 shBrushCpp.min.js를 링크했기 때문에 됩니다. // 다른 것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해당하는 파일들을 링크해야 됩니다. // ex) html 은 shBrushXml.js, python 은 shBrushPython.js // 3번 항목에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SyntaxHighlighter/3.0.83/scripts/shBrushXml.js" type = "text/javascript" ></ script > // 라고 넣어주어야 됩니다. |
의 형태로 작성을 하고 저장을 하면 됩니다.
테마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manual/themes/
구문의 언어에 대한 것은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manual/brushes/ 에 있으니 원하는 파일들을 위쪽에 있는 형식으로 작성해서 넣어주면 됩니다.
그럼 조금이라도 더 나은 구글 블로그 생활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폐율? 용적율? 이란 무엇인가?
1. 건폐율 이란?
토지 전체에 대한 건물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100평의 토지에 30평의 건물을 지었다고 합시다.
이 경우 건폐율은 30%가 되는 겁니다.
건폐율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7조 지역에 따른 비율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1. 도시지역
가. 주거지역: 70퍼센트 이하
나. 상업지역: 90퍼센트 이하
다. 공업지역: 70퍼센트 이하
라. 녹지지역: 20퍼센트 이하
2. 관리지역
가. 보전관리지역: 20퍼센트 이하
나. 생산관리지역: 20퍼센트 이하
다. 계획관리지역: 40퍼센트 이하
3. 농림지역: 20퍼센트 이하
4. 자연환경보전지역: 20퍼센트 이하
2. 용적율 이란?
토지 전체에 대한 건물 연면적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평의 토지에 1층 30평 2층 30평의 건물을 지었다고 합시다.
건물의 전체 면적이 60평이 됩니다.
그러므로 용적율은 60%가 됩니다.
* 건물 연면적에서 제외되는 것들
1. 지하층
2. 지상층의 주차용(해당 건축물의 부속용도인 경우만 해당)
3. 주민공동시설
4.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
* 하나의 대지에 2개 이상의 건축물이 있을경우는 각 연면적의 합계를 적용한다.
용적율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8조 지역에 따른 비율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1. 도시지역
가. 주거지역: 500퍼센트 이하
나. 상업지역: 1천500퍼센트 이하
다. 공업지역: 400퍼센트 이하
라. 녹지지역: 100퍼센트 이하
2. 관리지역
가. 보전관리지역: 80퍼센트 이하
나. 생산관리지역: 80퍼센트 이하
다. 계획관리지역: 100퍼센트 이하
3. 농림지역: 80퍼센트 이하
4. 자연환경보전지역: 80퍼센트 이하
건폐율은 수평 제한이고 용적율은 수직제한으로 기억하면 되겠다.
해당 지자체에 따라 비율을 따로 정할 수 있으므로 관할지역 관공서에 확인을 해야 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91698#0000
4대강 정비 삽질 후.. 낙동강에서 녹차라떼를 판매합니다.
4대강 사업은 2008년부터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사업으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등에
2012년까지 14조원을 투입해 노후 제방 보강과 하천 생태계 복원, 중소 규모의 댐 및 홍수조절지 건설, 친환경 보 설치, 하천 주변 자전거길 조성등을 추진한다는 사업이었다.
과연 2013년이 된 지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님 블로그에 올라온 19일자 글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http://apsan.tistory.com/ - 가시면 낙동강에 관한 이전 및 최근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이라 하나씩 들고 다닐만한 녹차라떼입니다.
어디에서 만든 것이냐고요? 낙동강입니다.
걸쭉한게 참 좋아보이죠?
죽곡 취수장 취수구 앞 사진이랍니다.
역시 녹색으로 뒤덮혀 있습니다.
시민들에게 녹차라떼 공급인가요?
오마이 뉴스에 있는 항공사진을 보니 낙동강 꽤 많은 구간에서 일어나고 있는거 같습니다.
물은 막아두는 것이 아닌데 왜 이런 사업을 벌여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것일까?
그리고 이 고통에 대해서는 어디에서 보상을 받는다는 말인가?
규모가 큰 사업이었으니 관련된 사람들도 많았는데 철저하게 조사해서 뿌리가 뽑힐런지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대충 큰 건더기 조금 던져주고 무마해버릴 것 같기도 합니다.
에휴..... 여의도도..... 고여있는 물이다 보니 녹차라떼처럼 된 것 같습니다.
jQuery 및 javascript 외부에서 추가하는 여러가지 방법
jQuery 사이트에서 해당하는 것을 다운로드 받은후 해당하는 페이지에 적용하는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사용자 계정의 트래픽이 증가하게 된다.
용량이 크지는 않지만 트래픽 허용량이 작은 계정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부담이 된다.
온라인으로 jQuery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몇 곳 있다.
이 곳을 사용하면 약간(?)이나마 부담을 덜 수 있다.
AngularJS, ChromeFrame, Dojo, Ext Core, jQuery, jQuery UI, MooTools
Prototype, script.aculo.us, SWFObject, Web Font Loader 등을 지원합니다.
jQuery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페이지에 적용하면 됩니다.
jQuery 지원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javascript도 비슷한 형태로 적용을 하고 역시 여러가지 버전을 지원합니다.
아래 페이지를 방문하시면 jQuery 및 다른 것들 지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peed/libraries/devguide?hl=ko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주소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외 지원하는 것은 jQuery UI, jQuery Validation, jQuery Mobile, jQuery Templates
jQuery Cycle, jQuery DataTables, Modernizr, JSHint, Knockout, Globalize, Bootstrap
등을 지원합니다.
자세한 것은 http://www.asp.net/ajaxlibrary/cdn.ashx#jQuery_Releases_on_the_CDN_0 를 방문하세요
하지만 cdnjs는 여러가지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http, https, spdy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앗! SyntaxHighlighter 도 호스팅을 하고 있네요.
다양한 것을 지원하고 있으니 한번 둘러보고 필요한 것들이 있으면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호스팅이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등록하는 곳도 있는 것 같으니 둘러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http://cdnjs.com/ 를 방문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사용자 계정의 트래픽이 증가하게 된다.
용량이 크지는 않지만 트래픽 허용량이 작은 계정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부담이 된다.
온라인으로 jQuery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몇 곳 있다.
이 곳을 사용하면 약간(?)이나마 부담을 덜 수 있다.
1. Google 에서 제공하는 jQuery
구글에서는 몇가지 자바스크립트 들에 대해서 제공하고 있다.AngularJS, ChromeFrame, Dojo, Ext Core, jQuery, jQuery UI, MooTools
Prototype, script.aculo.us, SWFObject, Web Font Loader 등을 지원합니다.
jQuery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페이지에 적용하면 됩니다.
1 2 | < script src = "http//ajax.googleapis.com/ajax/libs/jqueryui/1.10.3/jquery-ui.min.js" ></ script > < script src = "http//ajax.googleapis.com/ajax/libs/jqueryui/버전 숫자/jquery-ui.min.js" ></ script > |
jQuery 지원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 1.10.3, 1.10.2, 1.10.1, 1.10.0, 1.9.2, 1.9.1, 1.9.0, 1.8.24, 1.8.23, 1.8.22, 1.8.21, 1.8.20, 1.8.19, 1.8.18, 1.8.17, 1.8.16, 1.8.15, 1.8.14, 1.8.13, 1.8.12, 1.8.11, 1.8.10, 1.8.9, 1.8.8, 1.8.7, 1.8.6, 1.8.5, 1.8.4, 1.8.2, 1.8.1, 1.8.0, 1.7.3, 1.7.2, 1.7.1, 1.7.0, 1.6.0, 1.5.3, 1.5.2 |
다른 javascript도 비슷한 형태로 적용을 하고 역시 여러가지 버전을 지원합니다.
아래 페이지를 방문하시면 jQuery 및 다른 것들 지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peed/libraries/devguide?hl=ko
2. Microsoft 에저 지원하는 jQuery
구글과는 다르게 버전 2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주소를 사용하면 됩니다.
1 2 3 4 | < script src = "//ajax.aspnetcdn.com/ajax/jQuery/jquery-2.0.3.js" ></ script > < script src = "//ajax.aspnetcdn.com/ajax/jQuery/jquery-1.10.2.js" ></ script > < script src = "//ajax.aspnetcdn.com/ajax/jQuery/jquery-버전 숫자.js" ></ script > < script src = "//ajax.aspnetcdn.com/ajax/jQuery/jquery-버전 숫자.min.js" ></ script > |
그외 지원하는 것은 jQuery UI, jQuery Validation, jQuery Mobile, jQuery Templates
jQuery Cycle, jQuery DataTables, Modernizr, JSHint, Knockout, Globalize, Bootstrap
등을 지원합니다.
자세한 것은 http://www.asp.net/ajaxlibrary/cdn.ashx#jQuery_Releases_on_the_CDN_0 를 방문하세요
3. cdnjs 에서 지원하는 jQuery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인기있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만 지원합니다.하지만 cdnjs는 여러가지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http, https, spdy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jquery/2.0.3/jquery.js" ></ script >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jquery/1.10.2/jquery.min.js" ></ script >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jquery/버전숫자/jquery.js" ></ script > < script src = "//cdnjs.cloudflare.com/ajax/libs/jquery/버전숫자/jquery.min.js" ></ script > |
앗! SyntaxHighlighter 도 호스팅을 하고 있네요.
다양한 것을 지원하고 있으니 한번 둘러보고 필요한 것들이 있으면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호스팅이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등록하는 곳도 있는 것 같으니 둘러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http://cdnjs.com/ 를 방문하면 됩니다.
2013년 7월 22일 월요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소소하게 돈을 벌기 위한 사이트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약간의 돈을 벌기 위한 방법은 광고를 페이지에 설정하는 것이다.
이런 것을 운영하는 곳은 여러곳이 있다.
현재 알고 있는 곳들은 다음과 같다.
광고의 형태도 가장 다양하고 예전에는 수표를 국제우편으로 받는 방식이었다.
현재는 웨스트유니온퀵캐시를 통해 은행에서 바로 지급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수익이 100달러가 넘으면 당월 31일 이후 지급된다.
우리나라에는 그런 사례가 없지만 외국에는 한달에 몇천~억대 까는 버는 사람들도 있는듯 하다.
이름도 유사한게 한국형 애드센스라고 보면 된다.
플로팅 광고도 지원하므로 원하는 곳에 팝업창으로 광고를 띄울 수 있다.
위젯의 종류에 따라서 CPC, CPM 으로 제공한다.
AFFILIATE 를 가입해서 운영해야 되는 것 같다.
광고가 이곳저곳 적용되어 지져분해보일수도 있지만 잘 활용한다면 약간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것을 운영하는 곳은 여러곳이 있다.
현재 알고 있는 곳들은 다음과 같다.
1. 구글 애드센스 ( http://adsense.google.com/ )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광고의 형태도 가장 다양하고 예전에는 수표를 국제우편으로 받는 방식이었다.
현재는 웨스트유니온퀵캐시를 통해 은행에서 바로 지급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수익이 100달러가 넘으면 당월 31일 이후 지급된다.
우리나라에는 그런 사례가 없지만 외국에는 한달에 몇천~억대 까는 버는 사람들도 있는듯 하다.
2. 리얼센스 ( http://www.realclick.co.kr/ )
구글 애드센스와 유사한 형태로 리얼센스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이름도 유사한게 한국형 애드센스라고 보면 된다.
플로팅 광고도 지원하므로 원하는 곳에 팝업창으로 광고를 띄울 수 있다.
3. 애드젯 ( http://adget.co.kr/ )
여러가지 위젯 형태를 제공하여 광고를 진행한다.위젯의 종류에 따라서 CPC, CPM 으로 제공한다.
4. 링크프라이스 ( https://www.linkprice.com/home/linkpricehome.htm )
특정한 상품들에 대한 광고를 하고 그 상품들에서 수익이 발생하면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하는 듯 하다.AFFILIATE 를 가입해서 운영해야 되는 것 같다.
5. 네오애드 ( http://www.neoad.co.kr/ )
애드센스, 리얼센스와 비슷한 형태로 보면 된다.6. Ilikeclick ( http://home.ilikeclick.com/service/ )
애드센스, 리얼센스, 네오애드와 비슷한 형태광고가 이곳저곳 적용되어 지져분해보일수도 있지만 잘 활용한다면 약간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다.
CodeTyphon 설치(Freepascal + Lazarus)
프리파스칼과 라자루스를 한꺼번에 설치할수 있는 툴인 CodeTyphon은 아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pilotlogic.com/sitejoom/index.php/codetyphon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는 GUI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소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것의 압축을 풀고 해당 디렉토리에 가면 install.bat 가 있습니다.
이것을 관리자(administrator)으로 실행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0 번을 선택하면 기본적인 것 설치가 수행됩니다.
복사 및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주 기본적인 것만 설치된 것입니다.
다음 작업으로 들어가기 위해 1번을 선택하면 CodeTyphon 툴이 실행됩니다.
CodeTyphon이 실행되면 상단의 메뉴에서 General을 선택합니다.
General 메뉴 가장 아래쪽에 보면 Remove and Build All(FPC, Typhon and COcean)을 선택합니다.
freepascal, lazarus등 여러가지 필요한 것들 컴파일을 시작합니다.
소유한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서 10~30분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컴파일이 모두 완료되었다면 아래쪽 탭들에 여러가지가 표시됩니다.
IDE를 실행하려면 메뉴에서 CodeTyphon / Typhon IDE를 실행하거나
CodeTyphon Center에서 Typhon IDE를 클릭하면 됩니다.
필요한 것들 일부를 설치하고 나머지는 컴파일을 수행하는 것을 보면 Gentoo 리눅스 느낌이 납니다.
Freepascal(프리파스칼) 라자루스(lazarus)
파스칼 언어를 사용한 컴파일러로 다양한 OS를 지원하는 크로스 컴파일러이다.
이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통합 개발환경(IDE)을 지원하는 라자루스(lazarus) 프로젝트가 있다.
델파이와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오브젝트 파스칼을 지원하고 라자루스 컴포넌트 라이브러리(LCL)는
델파이의 비주얼 컴포넌트 라이브러리(VLC)와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GUI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것으로는 PilotLogic에서 위의 두가지를 합쳐서 배포하는 툴이 있습니다.
CodeTyphon 입니다.
2013년 7월 12일 금요일
시트릭스 젠서버(Xen Server) 오픈소스화
시트릭스에서 개발되고 있던 Xen Server가 오픈소스로 되었습니다.
시트릭스에서는 지난달말에 하이퍼바이저이인 젠서버 6.2 버전을 오픈소스로 내놓는다고 밝혔습니다.
xenserver.org 란 커뮤니티 포털을 개설하여 사용자들에게 지원을 하게 됩니다.
상용 젠서버 6.2 있는데 연간 라이선스와 유지보수비용을 포함하게 됩니다.
Xen Server 6.2 달라진점
AMD 파일드라이버 옵테론 지원
인텔 하스웰, 아이비브릿지 제온 지원
하나의 호스트당 500개의 VM 생성이 가능하고 vCPU 4000개 가능
윈도우 8, 윈도우 2012 지원
젠서버 오픈소소 커뮤니티
젠서버 6.2 다운로드 페이지 (바이너리와 소스 다운로드 가능)
라벨:
가상머신,
가상화,
반가상화,
시트릭스,
오픈소스,
전가상화,
OpenSource,
Virtualization,
VM,
Xen Server
2013년 7월 11일 목요일
국내 검색엔진(daum, naver, nate, zum)에서 검색으로 찾은 소소한(?) 문제점
국내포털에서는 검색을 잘 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국내 포털들에서 검색했을때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해졌습니다.그래서 4곳(daum, naver, nate, zum)에서 검색을 수행해보았습니다.
검색어로는 19금(?) 단어인 '소라넷'을 선정했습니다.
(선정이유는... 인터넷 생활을 오래한 분이면 아시겠죠? ㅡ.ㅡ;)
4곳 모두 그 검색어로 검색을 진행하였습니다.
별 문제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만..
1곳에서 문제점이 발견 되었습니다.
검색엔진에 일정한 광고비를 지불하고 검색 상위에 표시되는 '파워링크'로 키워드에
보면 '소라넷정보, 한국하드코어, 일본AV물, 서양하드영상 소라넷 바로감상' 이라고
되어 있었다.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라고 하지만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위 업체는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에도 참여하고 있으니 모범을 보여야 되지
않을까요?
한국인터넷자율 정책기구 홈페이지 http://www.kiso.or.kr/index.htm
검색어를 조금 바꾸어 보았습니다.
'소라넷' 에서 '넷'을 제외하고 '소라'로 검색 했습니다.
어라랏?
2곳에서 동일한 문제점이 발견 되었습니다.
'소라'라는 키워드가 들어가는 광고사이트들에는 모두 19금 표시가 나옵니다.
스페셜링크는 어떤 상품인지는 모르겠지만 그곳은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19금 표시가 나온 사이트 들에서 판매하는 것은 무엇일까?
한 곳을 들어가 보았습니다. 판매하는 것은 19금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먹는 소라입니다.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고 등록한 업체들이고 19금과는 아무런 연관도 없는데 표시를
하고 있으니 그 주인들이 알면 화가 날 일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들이 빠른 시간내에 수정되길 바랍니다...(해당하는 곳에 알리지는
않았습니다. ㅡ.ㅡ;)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