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Player는 VMware사에서 배포하는 호스트형 가상운영체제 플레이어입니다.
Free로 배포되며 workstation와 큰 차이점은 가상 OS의 생성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workstation에 비해서 용량도 작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workstation은 300MB~400MB사이의 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Player는 50MB정도의 크기이다
Player의 사용을 위해서는 만들어진 이미지가 필요한데
첫번째 방법으로는 VMware Appliance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Appliance의 다양한 아미지들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받으면 된다.
http://www.vmware.com/appliances/
두번째 방법으로는 vmx(Config)파일을 직접 생성하고
qemu-img를 사용하여 vmdk(가상디스크)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vmx파일의 구조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있고 설정을 해야 되는 것이 매우 많아진다.
세번째 방법으로 사용을 하는 것은 이미지에 관련된 파일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가상 O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2가지의 파일이 필요하다.
vmdk(Virtual Disk)와 vmx(Config) 이 2가지 파일이 있어야 가상 OS를 실행할수 있다.
직접 생성을 할수 있지만 그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아래의 사이트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필요한 파일들을 생성할수 있다.
http://www.easyvmx.com/
가운데 있는 3곳을 통하여 각각 필요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내려받을수 있다.
가상 OS를 설치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easyvmx나 eaxyvmx 2.0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받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생성할 가상머신의 이름을 넣어준다.
이것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파일명이 되니 공백이나 한글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음으로 설치할 OS를 선택한다.
VMWARE에서 지원하는 게스트 OS의 목록이며 Windows, Linux, Solaris, FreeBSD등 다양한 것이 있다.
메모리 용량을 선택한다. 최대 2GB까지의 메모리를 설정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상머신에서 사용할 CPU갯수를 선택한다.(1cpu or 2cpu가능)
가상머신에 대한 설명을 적는다.
네트워크는 NAT, Bridged, Host Only를 선택할수 있으며 가상 장치로 vlance, intel Pro/1000, vmxnet를 선택할수 있다. 대부분의 OS들이 vlance or intel Pro/1000을 지원하고 vmxnet는 vmware tools에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다. Windows Vista의 경우 Intel Pro/1000을 선택한다.
네트워크 카드는 최대 2개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디스크에 관한 설정부분이다.
플로피는 1개의 장치를 지원하며 자동검색으로 사용하거나
윈도우의 경우 A or B를 선택할수 있고 리눅스의 경우는 /dev/fd0 or /dev/fd1을 선택할수 있다.
CDROM은 Auto Detect를 사용하거나 실제 장착된 물리적인 장치의 드라이브명을 선택할수 있다.
또는 ISO 이미지를 사용할수도 있다.
하드디스크에 관한 것은 최대 2개까지 생성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SCSI를 선택할수 있다.
SCSI는 LsiLogic SCSI로 장치가 설정되는 것 같다.
사운드 및 I/O포트에 관한 설정
사운드는 ESS 1371 or SB 16을 선택할수 있고
USB, Serial 및 Parallel포트에 관한 것을 설정할수 있다.
마지막으로 DirectX에 관한 부분을 설정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VMware Tools를 설치해야 한다.
Create Experimental Virtual Machine를 누르면 가상 이미지에 관련된 파일이 생성되며
zip파일로 압축되어 받을수 있는 링크가 생성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